아미노기와 카복시기를 가진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생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아미노산.
생체는 주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은 근육, 피부, 머리카락, 내장, 손발톱, 뼈, 혈관등 생체구성 모든 것에 존재합니다.
이런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종류 및 아미노산 섭취량 등에 관해 소개합니다.
단백질은 이 영양소가 어떤순서로 결합되어 있는가로 성질과 종류가 결정됩니다.
이 배열이 단백질의 가장 첫 구조가 되기 때문에 단백질의 일차구조로 불리고 있습니다.
생체를 구성하는 이 영양소는 약 20종류로 어떤 순서로 결합되어 어떤 단백질을 구성하는가는 유전정보에 따라 지배되고 있습니다.
아미노산 종류
1. 필수아미노산
20종류중 9종류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몸 밖에서 섭취해야합니다.
메티오닌, 라이신, 류신(루신), 발린, 아이루이신,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
단백질을 체내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이 영양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어야 합니다.
가까이 있는 여러 식품들을 예를 들어보게습니다.
계란, 돼지고기, 우유, 콩, 옥수수, 보리등
2. 비필수아미노산
식사로 섭취하지 않아도 체내합성이 가능합니다.
L-아르기닌, L-히스티딘, L-글루탐산, L-글루타민, 글리신, L-티로신, L-알라닌, L-세린
L-아스파르트산, L-히드록시프롤린, L-플로린
3. 아미노산 섭취량
연령과 근육량, 운동량등에 따라 다릅니다.
단백질로서의 섭취량 기준은 성인남성은 하루 약 70g, 성인여성은 약55g정도입니다.
체내에서 약 20종류 존재하고 있으며 각각 구성하고 있는 것과 활동에따라, 종류에 따라서도 섭취량은 다릅니다.
필수아미노산은 체내합성이 안되기 때문에 식사나 영양제로 부족하지 않도록 섭취해줘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도 과다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단백질이나 이 영양소를 과잉섭취하게 되면 질소대사를 위해 간과 신장에 큰 부담이 가게 됩니다.
따라서 신장병환자에게 단백질 섭취제한을 하는 치료도 행해지고 있습니다.
영양제를 이용할 경우는 자신의 운동량과 식사를 기준으로 보고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아미노산 종류 및 아미노산 섭취량 관련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각각의 종류별 효능 및 적정 섭취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