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아드레날린 분비로 인한 효과와 과잉분비

asukaro 2018. 2. 20. 16:51

교감신경이 우위에 설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분비로 인한 효과와 과잉분비 등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교감신경은 긴장과 흥분으로 활발해지고, 부교감신경은 안정을 취할 때 활발해집니다. 

긴장되어 있으면서 안정을 취할 수 없듯 이 두 시견은 동시에 활발해지지 않습니다. 



교감신경이 활발해지는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포나 불안을 느낄 때 

긴장상태, 흥분상태 

공복

운동중

화내고 있거나 슬플 때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며 생존본능 그 자체입니다. 

대량으로 분비되고 있을 때는 인간의 3대욕구인 식욕, 수면욕, 성욕도 제한될 정도로 강한 작용을 하게 됩니다. 


아드레날린 분비로 인한 효과 



1.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 체내 혈관이 부위에 따라 확장과 수축을 일으킨다. 

그 결과 장소에 따라 혈압이 오르기도, 내리기도 한다.  


말초조직에서는 혈관이 수축되어 혈행이나빠진다 

- 피부, 두피, 점막, 손가락끝 등 


골격근에서는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증가한다. 


심근에서는 수축력이 상승하게 된다

 - 맥박이 빨라지고 혈액순환이 활성화되어 심장고동이 높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내장기능 특히 위장등 소화기관의 혈관평활근은 확장되어 활동에 제한이 생긴다.

이로인해 소화와 흡수, 배변 등의 기능에 제한, 신장활동도 제한되어 이뇨기능도 나빠질 수 있다. 


2. 혈당수치 상승 

간과 근육에 축적된 글리코겐분해가 촉진되어 혈액속으로 방출되면서 혈당수치가 상승한다. 

이로 집중력과 판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지방연소촉진, 다이어트효과 

전신 근육 에너지로 필요한 지방산을 생산해 지방세포 연소를 촉진시킨다. 

운동 등으로 아드레날린 분비 되면 식욕저하, 지방연소촉진, 신진대사상승으로 다이어트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체온상승과 발한증가 

근육과 체조직 혈류가 증가하고 그만큼 근육의 에너지소비도 증가한다. 

이로인해 근육을 열을 내면서 체온이 상승된다. 

하지만 체온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이 열을 내리기위해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5. 진통작용 

통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아드레날린 과다분비로 인한 부작용 

1. 동계 (심장두근거림)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리면서 심장부담이 증가해 심근경색을 초래할 우려가 증가한다. 

동계로 뇌에의 혈류가 증가하면 뇌가 혼란을 일으켜 쇼크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2. 불안, 초조함 

스트레스를 느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 뇌는 불안, 초조함 등의 불쾌감을 느낀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마음은 평정을 잃어 우울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혈압상승 

운동등으로 인한 일시적 혈압상승은 심폐기능을 자극해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오래 지속되면 항상 혈압이 높은 상태가 계속된다. 

이로인해 만성적인 고혈압이 되고 전신 혈관은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이외에도 심근경색, 뇌경색, 지주막하출혈 등의 중대질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4. 수면장애 

교감신경계 흥분은 뇌를 각성시켜 수면을 방해해 불면증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도 낮아진다. 


5. 혈액순환불량 

피부나 손가락 등 말단세포의 혈액순환불량을 초래한다. 

이로서 어깨통증, 수족냉증, 탈모증가, 성기능억제 등으로 이어진다. 


6. 면역력저하 

부교감신경이 억제되어 면역작용 등의 활동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인해 쉽게 감기에 걸리고 질병에의 노출도 많아지게 된다. 


아드레날린 분비로 인한 효과와 과잉분비 부작용 까지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