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효능 및 아연 부작용 , 아연 함유 식품 , 아연 권장량 등
아연 효능 및 아연 부작용 , 아연 함유 식품 , 아연 권장량
2000종류 이상의 효소중 약 300종류의 조성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미네랄인 아연은
주로 세포분열과 신진대사, 단백질합성, 항산화, 알콜분해, 면역활성화, 발모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아연은 남자가 섭취할 때, 여자가 섭취할 때 그 효과도 조금은 다르다고 하는데요
좀더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연 효능
효과
효소 활성화 : 약 300종류의 효소 활성화
세포분열과 신진대사 : 세포분열시 아연이 부족하면 DNA가 올바르게 분열하지 못함
활성산소제거 : SOD라는 항산화물질의 재료
태아의 건강한 성장
정자를 만듬 : 정자 생성, 운동, 여성의 난소에도 효과가 있다.
알콜분해 : 알콜탈수효소는 아연을 필요로한다.
면역력상승
미각 : 미각세포형성에 관계. 아연이 부족하면 미각이상이 된다.
정신안정 : 뇌에 많이 존재해 기억과 정신안정에 관여
혈당치 낮춰줌 : 인슐린을 만드는데 필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 :
부족하면 체중이 정상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성장지체가 되고 뼈 성장에도 관여하게 된다.
남성에의 아연효과
감소해가는 정자수 유지, 정자운동이 상승해 수정되기 쉬움, 정력증강,
전립선장애 방지, 모발세포분열과 단백질형성을 도와 모발형성개선
여성에의 아연효과
생리불순과 무배란 방지, 생리주기안정과 함께 임신하기 쉬운 체질, 항산화작용으로 난자 노화 예방
아연 권장량
18~69세 남자는 하루 9mg, 여성은 7mg. 임부와 수유중인 경우는 =3mg.
최대량은 30mg, 평균 8.6~0.2mg
아연 부작용
하루100mg이상 장기 섭취 : 구토, 구역질, 탈수증상, 발열, 권태감. 신경장애, 간기능장애, 빈혈 과잉증 위험
하루50mg 을 1주일이상 섭취 : 구토, 불안, 초조
2000mg 이상인 경우 급성중독(위기능장애, 현기증, 구역질)위험
아연은 동 흡수를 방해하고 동을 배출시키는 역할이 있어
아연을 많이 장기간 섭취하면 체내 동부족이 되어 여러가지 부작용이 생기기 쉽다.
아연은 항생물질등의 흡수를 방해하기도 한다.
아연결핍증 증상
피부건조, 기미, 주름, 탈모, 머리카락이 얇아짐, 손톱발톱이상, 정자결핍, 발기부전,
태아성장부전, 항산화력저하, 면역력저하, 기분불안정
아연 함유 식품
동물성에서 식물성까지 폭넓다. 동물성에서는 굴, 게, 자라, 소고기, 닭고기 등
식물성에는 깨, 코코아, 아몬드 등의 견과류, 치즈, 김, 황란 등
아연 효능 및 아연 부작용 , 아연 함유 식품 , 아연 권장량 ,그리고 결핍증과 과잉증 등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